[역사+] 박종인의 땅의 역사 - 서울, 경기 2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환급(상시)과정이란 지원/환급금 없이 수강생 본인이 수강료를 전액 부담하는 학습유형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강생이 국가지원제도 및 회사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자기개발 및 스스로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100% 자비부담금으로 수강신청을하는 과정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안전보건교육 평가별 이수조건은 각 차시평가별 평가 80%, 학습진도율 20%로 하여 총 득점의 70점이 넘어야 평가이수가 가능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차시평가가 이수가되어야 수료조건에 충족이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시별 평가의 각 평가별 응시횟수는 6회(재응시 5회)이며 재응시 3회차에는 해당 차시 진도를 재수강해야 재응시가 가능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과정 소개 | ?여행문화전문
박종인 기자와 함께 ‘날 것
그대로의 우리 역사’를
머금은 이 한반도 땅을 돌아보는 고품격 인문 역사 기행?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학습 대상 | §우리의
역사를 통해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고자 하는 직장인 §역사의
현장을 돌아보며 교양과 식견을 넓히고자 하는 직장인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학습 목표 | 서울
경기의 땅이 품고 있는 반만년 우리의 역사를 통해 일과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다?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교수 소개 | 박종인 학력 ?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?뉴질랜드 Unitec School
of Design 현대사진학 전공 ? 경력 ?조선일보 편집국 여행문화전문기자 ?조선일보 영상뉴스취재팀 팀장 ?조선일보 사회부/엔터테인먼트부 부장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습내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차시 | 내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차시 | 책가도 속 도자기의 비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차시 | 조선의 도공과 초량왜관의 도공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차시 | 의문의 사이비 종교 집단, 백백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차시 | 희대의 살인마 집단 백백교의 몰락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차시 | 세종의 골치 아픈 첫째 며느리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차시 | 세종의 사랑 받는 둘째 며느리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차시 | 태종의 왕세자 책볼 프로젝트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차시 | 양녕과 효령이 담긴 흔적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차시 | 허생전으로 알아보는 조선 경제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차시 | 허생이 꿈꾸던 조선의 경제 개혁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차시 | 왕의 남자 내시의 권력남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차시 | 양극 관계인 내시, 김처선과 김자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차시 | 상극의 인생길을 걸어간 두 여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차시 | 남자현과 배정자, 두 여자의 최후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습내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차시 | 내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차시 | 책가도 속 도자기의 비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차시 | 조선의 도공과 초량왜관의 도공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차시 | 의문의 사이비 종교 집단, 백백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차시 | 희대의 살인마 집단 백백교의 몰락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차시 | 세종의 골치 아픈 첫째 며느리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차시 | 세종의 사랑 받는 둘째 며느리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차시 | 태종의 왕세자 책볼 프로젝트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차시 | 양녕과 효령이 담긴 흔적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차시 | 허생전으로 알아보는 조선 경제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차시 | 허생이 꿈꾸던 조선의 경제 개혁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차시 | 왕의 남자 내시의 권력남용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차시 | 양극 관계인 내시, 김처선과 김자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차시 | 상극의 인생길을 걸어간 두 여자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차시 | 남자현과 배정자, 두 여자의 최후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가기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평가비율 | - | 0% | 0% | 0% | -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수료조건 | 10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60점 이상 |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