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인공지능, 쉽게 이해하기
-
비환급(상시)과정이란 지원/환급금 없이 수강생 본인이 수강료를 전액 부담하는 학습유형
-
수강생이 국가지원제도 및 회사의 지원을 받지 않고 자기개발 및 스스로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100% 자비부담금으로 수강신청을하는 과정
-
안전보건교육 평가별 이수조건은 각 차시평가별 평가 80%, 학습진도율 20%로 하여 총 득점의 70점이 넘어야 평가이수가 가능합니다.
-
모든 차시평가가 이수가되어야 수료조건에 충족이됩니다.
-
차시별 평가의 각 평가별 응시횟수는 6회(재응시 5회)이며 재응시 3회차에는 해당 차시 진도를 재수강해야 재응시가 가능합니다.
| 과정 소개 |
본 과정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인 인공지능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여 학습자들의 직무 전문성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. |
| 학습 대상 |
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소양을 쌓고자 하는 임직원 인공지능을 업무에 활용하고자 하는 임직원 |
| 학습 목표 |
인공지능의 전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|
| 교수 소개 |
이송 - 연세대학교 수학과( 학사졸업 ) |
학습내용
| 차시 |
내용 |
| 1차시 |
인공지능의 역사와 주요 개념 |
| 2차시 |
왓슨의 주요 서비스 |
| 3차시 |
머신러닝 이해 |
| 4차시 |
딥러닝의 이해 |
| 5차시 |
뉴스와 AI |
| 6차시 |
TV와 AI |
| 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내/외부 환경 분석하기 |
| 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필요자원 분석하기 |
| 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기술환경 분석하기 |
| 10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방향 설정하기 |
| 11차시 |
인공지능서비스 목표 확정하기 |
| 12차시 |
인공지능서비스 요구사항 수집하기 |
| 13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 분석하기 |
| 14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정의하기 |
| 15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검증하기 |
| 16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요소 정의하기 |
| 1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하기 |
| 1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타당성 검증하기 |
| 1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방안 분석하기 |
| 20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활용 기획하기 |
| 21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상품화 기획하기 |
| 22차시 |
AI 서비스의 디지털 콘텐츠 적용 사례 |
| 23차시 |
AI 서비스의 영화산업 적용 사례 |
| 24차시 |
AI 서비스의 음악산업 적용 사례 |
| 25차시 |
AI 서비스의 얼굴인식 및 이미지 적용 사례 |
| 26차시 |
AI 서비스의 문학과 미술에의 적용 사례 |
| 2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기준 기획하기 |
| 2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방법 기획하기 |
| 2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실행 기획하기 |
| 30차시 |
AI의 실패영역과 인간의 관여 |
|
학습내용
| 차시 |
내용 |
| 1차시 |
인공지능의 역사와 주요 개념 |
| 2차시 |
왓슨의 주요 서비스 |
| 3차시 |
머신러닝 이해 |
| 4차시 |
딥러닝의 이해 |
| 5차시 |
뉴스와 AI |
| 6차시 |
TV와 AI |
| 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내/외부 환경 분석하기 |
| 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필요자원 분석하기 |
| 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기술환경 분석하기 |
| 10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방향 설정하기 |
| 11차시 |
인공지능서비스 목표 확정하기 |
| 12차시 |
인공지능서비스 요구사항 수집하기 |
| 13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 분석하기 |
| 14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정의하기 |
| 15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모델 검증하기 |
| 16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요소 정의하기 |
| 1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하기 |
| 1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시나리오 타당성 검증하기 |
| 1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방안 분석하기 |
| 20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활용 기획하기 |
| 21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상품화 기획하기 |
| 22차시 |
AI 서비스의 디지털 콘텐츠 적용 사례 |
| 23차시 |
AI 서비스의 영화산업 적용 사례 |
| 24차시 |
AI 서비스의 음악산업 적용 사례 |
| 25차시 |
AI 서비스의 얼굴인식 및 이미지 적용 사례 |
| 26차시 |
AI 서비스의 문학과 미술에의 적용 사례 |
| 27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기준 기획하기 |
| 28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방법 기획하기 |
| 29차시 |
인공지능 서비스 성과 평가 실행 기획하기 |
| 30차시 |
AI의 실패영역과 인간의 관여 |
|
평가기준
| 평가항목 |
진도율 |
시험 |
과제 |
진행단계평가 |
수료기준 |
| 평가비율 |
- |
80% |
10% |
10% |
- |
| 수료조건 |
80%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60점 이상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