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현장에서 제조업의 제품생산에 있어 생산계획의 수립에 의해 효율적인 운영기법과 직무능력의 학습효과에 따른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구성되었습니다.
제조업, 서비스업 분야의 생산 및 품질의 종사자
판매 담당 임직원
산업현장에서 제조업의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계획의 수립에 의해 효율적인 운영기법과 직무능력의 학습효과에 따른 실무능력의 향상시키는데 그 목표가 있다.
박정수
- 대구대학교 산업공학( 박사졸업 )
- 경북대학교 기계공학( 박사수료 )
총 경력 : 19년 0개월
- 안동과학대학교 강의 ( 5 년 11 개월 )- 대구대학교 강의 ( 19 년 )
차시 | 내용 |
---|---|
1차시 | 생산관리의 발전 |
2차시 | 생산기술경영 |
3차시 | 생산운영관리와 프로세스 |
4차시 | 프로세스 의사결정 |
5차시 | 경쟁우선순위 |
6차시 | 수요예측 |
7차시 | 제픔과 서비스설계 |
8차시 | 작업설계와 작업측정 |
9차시 | 생산능력 |
10차시 | 입지선정 |
11차시 | 설비배치 |
12차시 | 총괄생산계획 |
13차시 | 재고관리 |
14차시 | 일정계획 |
15차시 | 자재소요계획 |
16차시 | SCM관리 |
17차시 | 적시생산시스템 |
18차시 | 프로젝트관리 |
19차시 | 제품 및 공정설계 |
20차시 | 품질경영관리 |
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
---|---|---|---|---|---|
평가비율 | - | 80% | 20% | 0% | - |
수료조건 | 8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40점 이상 |